2016년이 이제 3시간도 남지 않았다. 이 글이 올해의 마지막 글이 될것 같다. 이번글도 역시 블로그의 꾸미기와 관련된 주제로 이모지 (Emoji) 에 관한 글로 마지막을 장식하려고 한다. 이모지 Emoji 의 발견 요즘 나는 스킨의 사이드바를 수정하면서 카테고리의 글 개수와 최근글의 댓글 수 부분을 손보고 있었다. 우선 숫자의 좌우에 괄호를 스크립트를 이용해 제거하고 그 부분에 아이콘 폰트나 문자를 삽입하려고 했다. 괄호는 쉽게 제거했는데 숫자 앞에 아이콘 폰트를 삽입하려고 하니 마음처럼 잘 되지 않는다. 스크립트로 삽입해 보기도 하고 백그라운드를 이용해 SVG 를 넣어보기도 했다. 하지만 댓글이 없는 부분까지 아이콘이 보여서 너무 지저분해졌다. before 를 이용해 숫자 앞에 아이콘 폰트를 삽입해..
블로그
2016. 12. 31. 22:01
우선 모든 방문객 여러분!! 미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_^; 해피 뉴 이어~~~ 지난번 크리스마스에도 블로그의 대문 첫페이지에 바탕화면을 깔았는데 너무 어두운 색상의 배경화면을 골라서 영 별로였었다. -.-; 그래서 이제 내일로 다가온 새해를 맞아 이번 새해 인사는 좀 더 밝은 이미지의 바탕화면을 구글에서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아 블로그의 첫화면에 깔았다. ㅋㅋ 밝고 심플해서 현재 블로그의 첫페이지와 잘 어울리는듯 하고 완전 맘에 든다. 근데 위치가 좀 애매하다. 중간쯤에 두기도 이상하고 아래쪽으로 내릴수도 없고.. 그나마 가장 나아보이는 곳에 두기는 했는데 그래도 뭔가 찜찜하다. 첫페이지외에도 상단 헤드바 부분에도 같은 그림을 작게 읽어오게 해서 보이도록 했다. 요건 어디든 계속 보이도록 했다..
블로그
2016. 12. 31. 00:39
이제 2016년이 이틀밖에 남지 않았다. 오늘과 내일이 지나면 2017년 새해이다. 지난해 연말에도 블로그 차트에 가서 블로그 랭킹을 살펴보았던 적이 있다. 블로그 차트 바로가기 그때는 한참 방문객도 많던 시기였고.. 나도 왕성히?글을 쓰던 시기였다. 그래서인지 블로그 랭킹의 등수도 계속 상승세의 분위기였다. 2015년 마지막주에는 전체 블로그의 숫자가 970만개 정도였고 나의 순위는 1,618위 였다. 요즘엔 감히 접근조차 꿈꾸기도 어려운 순위이다. -.-; 올해가 다 저물어가는 이때 지난해와 비교를 위해 다시 한번 나의 등수를 확인해 보았다. 전체 블로그의 숫자가 1년이란 기간동안 많이도 늘어났다. 천만이 넘는 블로그라니... 현재 운영중인 블로그의 숫자는 이 중에 소수이겠지만.. 그래도 엄청 많다...
블로그
2016. 12. 30. 01:02
얼마전에 테터데스크를 이용해 블로그의 첫페이지를 만들었다. 테터데스크는 티스토리의 플러그인을 통해 첫페이지를 꾸밀 수 있게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요즘의 반응형 스킨에서 반응형이 반영되지 않아 대부분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실 적용되지 않는건 당연한 거였는데.. 나는 그 이유를 잘 몰랐다. 테터데스크의 컨텐츠의 내용은 본문의 내용과는 설정이 완전 다른 '부분'이었던 것이다. 이번에 다시 테터데스크를 오랫만에 보니 첫 화면에 설정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샘플이 제공되기도 하고 최신글이나 특정 카테고리의 글들을 썸네일과 함께 뉴스레터 형식으로 불러 올 수도 있고 화면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나는 첫페이지를 뉴스 기사식의 여러가지 이미지가 나열되어 있거나 글의 목록이 보이는 형태보다..
블로그
2016. 12. 30. 00:39
블로그에는 이제까지 SNS 공유하기를 사용하지 않고 운영했다가 얼마전에서야 코코소프트님의 블로그 글을 보고 참고해서 드디어 이 블로그에도 SNS 공유하기 버튼을 추가했다. 카카오톡, 네이버, 페이스북, 트위터의 아이콘 바로가기를 아이콘 폰트를 이용해 바로 가기를 설정했다. 그런데 아이콘 중 유독 카카오톡의 아이콘만 제대로 SVG 가 없어 아쉽지만 말풍선으로 대체해서 사용해야만 했다.방문객이 말풍선 모양의 아이콘이 카카오톡이라는건 쉽게 알아차리리라 생각하고 있긴 하지만 자꾸 눈에 가시처럼 신경이 쓰인다. 인터넷에 혹시나 SVG 이미지가 있을까 검색해 보았지만 카카오스토리만 있고 카카오톡은 아무리 찾아보아도 없다. 아무 쓸모도 없는 JPG, PNG 파일의 아이콘 이미지만 보인다. -.-; 에라 모르겠다. 이..
블로그
2016. 12. 28. 22:27